니콜라이 1세의 국내 정책

니콜라이 1세 황제

두 명의 형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니콜라이 파블로비치가 권좌에 오른다는 것은 가능성이 적었기 때문에 아무도 그의 러시아 전체 통치의 역할에 준비가 되지 않았습니다. 니콜라이는 군대에서 경력을 쌓았는데 그렇기 때문에 황태자 교육과 양육은 믿음직한 람즈도르프 장군에게 맡겨졌습니다. 그는 황태자를 전쟁놀이와 연습에 관심을 갖게 하였습니다. 알렉산드르 1세와 함께 젊은 니콜라이는 1814년에 승리한 러시아 군대를 이끌고 파리에 다녀왔습니다. 1817년에 그는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라는 러시아 이름을 부여받고 프러시아 황제의 딸 샤르로테와 결혼했습니다. 그때 니콜라이는 공병부대 감찰장군으로 임명되었습니다. 


니콜라이는 사람들에게서 무엇보다도 진지함, 공손함, 순종 등을 중요하게 평가했습니다. 러시아에서의 개혁 필요성과 불가피성을 잘 이해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우선 전제체제의 확고함을 확보하려고 했습니다. 새로운 혼란이 초래할 위험 때문에 알렉산드르 치세 때보다 훨씬 더 비밀스러운 환경에서 개혁안이 입안되었습니다. 동시대 사람들의 평가에 따르면 농노제 폐지를 감행할 힘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니콜라이는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아들, 즉 미래의 황제 알렉산드르 2세로부터 이러한 역사적 과업을 해결하겠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국가 행정기관의 강화

알렉산드르 1세와 달리 니콜라이는 중요한 문제뿐만 아니라 중요하지 않은 문제들 까지도 자신이 직접 해결하기를 원했습니다. 각 내각의 활동에 대한 직접 감독 체제를 확립한 이후에 그는 대원수인 황제의 고유한 권한을 확대했고, 내각을 바꾸기 시작했습니다.


1826년 1월에 황제는 유배지에서 돌아온 스페란스키가 이끄는 자신의 직할 기구 제2부를 창설했습니다. 2부의 중요한 업무는 통합된 나라의 법령집을 편찬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전에 이러한 일은 10등급 관리들에게 위임되었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스페란스키는 5년 동안 그러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1830년에 45권의 러시아 제국의 최초 법령집을 출판하였고, 1832년에는 국가의 현행 법률집을 출판하였습니다. 


1826년 10월에 니콜라이는 과거 비밀위원회 위원이었던 코추베이 공작이 의장을 맡았던 비밀 위원회를 창설했습니다. 그는 국가 행정의 개혁안을 입안하는 일을 위임받았습니다. 그러나 코츄베이는 이러한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했습니다. 1830년대에 많은 점에서 국가 관리들의 통제를 받는 귀족 회의를 많이 설치하는 결정이 채택되었습니다. 이것을 위해서 거대한 관료들의 조직이 필요했습니다. 니콜라이 치세 말기에는 관료들의 수가 거의 9만명에 이르렀습니다. 장군들을 새로운 관직에 임명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지만 이것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내각이나 부서의 장이 전혀 없는 것처럼 거대한 관료기구는 자신의 업무룰 수행했습니다.


1840년대 초에 국가 위원회의 자문 기능이 제한되었습니다. 1842년에 채택된 국가윈원회 설립에 관한 규정안에는 국가위원회 읜원들의 소수 의견 또는 이런저런 문제들로 인한 그들의 특별한 결정을 추인하는 황제의 권한을 법률로 만들었습니다. 지방행정 기관인 폴란드, 자카프카지예, 발트해 연안의 행정에 커다란 제한이 가해졌습니다. 중앙 정부의 견해나 지시없이는 독자적인 결정을 하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 


귀족에 대한 국가지원

니콜라이 1세는 자신의 정책과 전체체제를 지지했던 귀족 계급에 의존했습니다. 그는 귀족 계층의 경제적 상황을 상화시켜주고 싶었습니다. 1812년 조국전쟁 이전부터 시작된 상당수의 기죽 빈곤화이 지속은 황제를 매우 불안하게 했습니다. 니콜라이는 많은 상속자들에게 거대한 땅을 나누어 주는 것을 금지시켰는데 영지는 장자에게만 상속되었습니다. 가족의 나머지 형제들은 녹봉을 받기 위해 국무, 군대나 궁정의 업무에 임해야만 했습니다. 


귀족 자치기구의 선출에 참여자가 될 수 있는 재산 소유의 수준이 상승했습니다. 1828년에 채택된 새로운 학교 법령에 따라서 귀족과 관료의 자제들만이 중고등교육 기관에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귀족계층의 입문도 제한되었습니다. 이전에는 국가에 대한 다양한 공헌을 한 보상으로 차르는 특별한 재능이 있는 평민, 상인, 때로는 농민 출신들에게도 귀족계급으로의 신분상승을 허용했습니다. 지금은 그러한 공적에 대한 보상으로 차르는 그들에게 존경할 만한 시민의 칭호만을 부여했습니다. 위와 같이 채택된 조치들은 귀족들의 권위화 역할을 증대시켜 주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